국정원, 국내 '포털사이트' 사칭한 北 해킹공격 주의 촉구
Contents
국정원, 국내 ‘포털사이트’ 사칭한 北 해킹공격 주의 촉구
- 네이버·카카오(다음) 등을 사칭한 ‘해킹메일 전송’이 전체 北해킹수법의 74% 차지
- 국정원, 對국민 추가피해 방지 및 보안주의를 위해 北해킹공격 분석결과를 최초 공개
# 중학교 교사 이모씨는 ‘포털사이트 관리자’ 명의로 발송된 메일을 무심코 열람했다가, 수년치 메일 송수신 내용은 물론, 클라우드에 저장된 이력서 및 개인 파일들이 통째로 유출되는 피해를 입었다. 이모씨가 수신한 메일은 북한 정찰총국이 보낸 해킹용 메일이었다.
# 회사원 김모씨는 ‘비밀번호가 유출되었습니다’라는 제목의 메일을 열람한 뒤 즉시 비밀번호를 변경했다. 하지만 김씨는 며칠 뒤 관계 기관으로부터 “메일에 저장돼 있던 업무자료 등이 모두 해커에게 절취됐다”는 통보를 받았다. 코로나19 상황 가운데 재택근무를 위해 개인메일 계정으로 전송했던 민감 업무자료가 모두 북한으로 빠져나간 것이었다.
북한 해킹조직들이 대한민국 국민들을 대상으로 무차별·지속적 해킹공격을 진행하고 있어, 국가정보원이 처음으로 北해킹공격 관련 통계를 공개하며 對국민 경각심 제고에 나섰다.
국정원은 국가ㆍ공공기관 및 국제ㆍ국가배후 해킹조직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집계한 대한민국 대상 해킹공격 자료 중, 최근 3년(2020~2022년)간 발생한 북한 해킹조직으로부터의 사이버 공격 및 피해통계를 25일 공개했다.
…
- 네이버·카카오(다음) 등을 사칭한 ‘해킹메일 전송’이 전체 北해킹수법의 74% 차지
- 국정원, 對국민 추가피해 방지 및 보안주의를 위해 北해킹공격 분석결과를 최초 공개
# 중학교 교사 이모씨는 ‘포털사이트 관리자’ 명의로 발송된 메일을 무심코 열람했다가, 수년치 메일 송수신 내용은 물론, 클라우드에 저장된 이력서 및 개인 파일들이 통째로 유출되는 피해를 입었다. 이모씨가 수신한 메일은 북한 정찰총국이 보낸 해킹용 메일이었다.
# 회사원 김모씨는 ‘비밀번호가 유출되었습니다’라는 제목의 메일을 열람한 뒤 즉시 비밀번호를 변경했다. 하지만 김씨는 며칠 뒤 관계 기관으로부터 “메일에 저장돼 있던 업무자료 등이 모두 해커에게 절취됐다”는 통보를 받았다. 코로나19 상황 가운데 재택근무를 위해 개인메일 계정으로 전송했던 민감 업무자료가 모두 북한으로 빠져나간 것이었다.
북한 해킹조직들이 대한민국 국민들을 대상으로 무차별·지속적 해킹공격을 진행하고 있어, 국가정보원이 처음으로 北해킹공격 관련 통계를 공개하며 對국민 경각심 제고에 나섰다.
국정원은 국가ㆍ공공기관 및 국제ㆍ국가배후 해킹조직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집계한 대한민국 대상 해킹공격 자료 중, 최근 3년(2020~2022년)간 발생한 북한 해킹조직으로부터의 사이버 공격 및 피해통계를 25일 공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