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 전산망 마비 사태
Contents
농협 전산망 마비 사태
농협 전산망 마비 사태는 2011년 4월 12일 농협 전산망에 있는 자료가 대규모로 손상되어 수일에 걸쳐 전체 또는 일부 서비스 이용이 마비된 사건이다. 사건 초기에는 협력 업체에 의한 사고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이후 농협 측에서는 내부 전문가의 사이버 테러일 가능성이 높다고 발표했다.[1] 그 후 4월 26일에 대한민국 검찰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소행이라고 발표했으나 여러 가지 부분에서 의문점이 지적되었다.[2] 농협 측의 사건 처리가 미흡했다는 지적이 있었으며,[3] 농협의 일부 업무는 4월 13일 오후, 모든 업무는 여러 차례 연기 끝에 18일만인 4월 30일에 정상화되었다.[4]
경과[편집]
- 2011년 4월 12일: 17시 5분 전산 마비 발생.
- 4월 13일: 입출금 등 창구 업무 복구, 서울중앙지검 첨단범죄수사2부 수사개시[5]
- 4월 14일: ATM, 인터넷 뱅킹, 폰 뱅킹 등 일부기능 복구.[6]
- 4월 22일: 일부 거래내역 복구 불가능 시인,[7] 이재관 전무 사퇴[8]
- 5월 3일: 검찰, 수사결과 발표[5]
대한민국 검찰의 수사[편집]
원인[편집]
검찰은 농협해킹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사이버 테러에 의한 것으로 결론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서버 유지보수를 맡은 외주업체 직원 한국IBM 직원 한모 씨가 지난해 2010년 9월 4일 한 커피숍에서 받은 …
농협 전산망 마비 사태는 2011년 4월 12일 농협 전산망에 있는 자료가 대규모로 손상되어 수일에 걸쳐 전체 또는 일부 서비스 이용이 마비된 사건이다. 사건 초기에는 협력 업체에 의한 사고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이후 농협 측에서는 내부 전문가의 사이버 테러일 가능성이 높다고 발표했다.[1] 그 후 4월 26일에 대한민국 검찰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소행이라고 발표했으나 여러 가지 부분에서 의문점이 지적되었다.[2] 농협 측의 사건 처리가 미흡했다는 지적이 있었으며,[3] 농협의 일부 업무는 4월 13일 오후, 모든 업무는 여러 차례 연기 끝에 18일만인 4월 30일에 정상화되었다.[4]
경과[편집]
- 2011년 4월 12일: 17시 5분 전산 마비 발생.
- 4월 13일: 입출금 등 창구 업무 복구, 서울중앙지검 첨단범죄수사2부 수사개시[5]
- 4월 14일: ATM, 인터넷 뱅킹, 폰 뱅킹 등 일부기능 복구.[6]
- 4월 22일: 일부 거래내역 복구 불가능 시인,[7] 이재관 전무 사퇴[8]
- 5월 3일: 검찰, 수사결과 발표[5]
대한민국 검찰의 수사[편집]
원인[편집]
검찰은 농협해킹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사이버 테러에 의한 것으로 결론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서버 유지보수를 맡은 외주업체 직원 한국IBM 직원 한모 씨가 지난해 2010년 9월 4일 한 커피숍에서 받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