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zarusholic

Everyday is lazarus.dayβ

진화하는 북한의 사이버 공격 현황과 대응

2023-11-01, INSS
https://www.inss.re.kr/publication/bbs/ib_view.do?nttId=41036988&bbsId=ib&page=1&searchCnd=0&searchWrd=
INSS_이슈브리프_진화하는_북한의_사이버_공격_현황과_대응_472호.pdf, 355.9 KB

Contents

이슈브리프
-
초록
올해 2분기까지 전 세계적으로 암호화폐 공격 건수는 전년 동기대비 크게 증가하였고 이중 북한이 차지하는 규모는 약 30%에 육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2023년 3분기까지 북한이 사이버 해킹을 통해 벌어들인 암호화폐 규모는 약 3억 4천만 달러로, 역대 최고 액수를 기록한 2022년에 비해 줄어든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북한의 암호화폐 해킹을 통한 수입감소는 암호화폐 가격의 급락, 각국의 모니터링과 제재 강화, 탈취한 자금세탁의 어려움에 따른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북한은 이 같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방법을 통해 위기에 대응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첫째, 암호화폐에 대한 직접적 공격 외에 랜섬웨어 공격까지 감행하여 자금출처를 다양화하고 둘째, 러시아의 암호화폐거래소를 통해 훔친 자금을 세탁하며 셋째, 기존의 해킹 그룹간 협력을 강화하여 추적을 따돌리려 노력한다. 이처럼 북한의 진화하는 사이버 공격에 대응하여 한국 정부는 법령제정, 국내기업 보안 위반시 제재, 사이버 분야 대북 독자제재, 사이버 위협 관련 정보 공유 등의 다양한 방안을 실행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무엇보다 자금세탁을 방지하고 해킹을 통해 빼앗긴 자산을 다시 회수하는 카운터해킹 능력을 향상하여 북한의 불법적 외화자금 확보를 근본적으로 차단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