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imsuky” Operation로 명명된 한국을 대상으로 한 APT 공격
Contents
2013년 9월 12일 새벽 러시아 보안 업체인 캐스퍼스키(Kaspersky)에서는 해당 업체 블로그 “The “Kimsuky” Operation: A North Korean APT?“를 통해 한국을 대상으로 한 고도의 APT(Advanced Persistent Threat) 공격이 발견되었음을 공개하였다.
해당 블로그에서는 총 31개의 악성코드 MD5 해쉬(Hash) 값을 공개하였으며, 공격자는 불가리아의 무료 이메일 서버스인 mail.bg 를 이용해 감염된 시스템에서 탈취한 데이터를 보관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ASEC에서는 해당 블로그에서 공개한 총 31개의 악성코드에 대해 2013년 6월부터 발견되고 있음을 파악하고 다양한 방안으로 대응을 진행 중에 있다.
아래 그래프는 이번에 캐스퍼스키에서 명명한 The “Kimsuky” Operation에서 공개된 31개의 악성코드들을 ASD(AhnLab Smart Defense)의 데이터 베이스에 다년간 축적된 데이터를 이용해 발견된 시기를 년도와 월별로 정리한 내역이다.
이번 한국을 대상으로한 The “Kimsuky” Operation로 명명된 APT 공격에 사용된 악성코드는 2009년 3월 최초로 발견되었으며, 4년 동안 동일한 형태의 다른 변형들이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2013년 6월 초를 시작으로 6월 한 달 동안 총 10개의 변형들이 발견되었으며, 2013년 9월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변형들이 발견되었다.
The “Kimsuky” Operation에 사용된 악성코드들 모두 기존 한국에서 지속적으로 발견되던 취약한 한글 파일(.HWP)을 이용해 …
해당 블로그에서는 총 31개의 악성코드 MD5 해쉬(Hash) 값을 공개하였으며, 공격자는 불가리아의 무료 이메일 서버스인 mail.bg 를 이용해 감염된 시스템에서 탈취한 데이터를 보관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ASEC에서는 해당 블로그에서 공개한 총 31개의 악성코드에 대해 2013년 6월부터 발견되고 있음을 파악하고 다양한 방안으로 대응을 진행 중에 있다.
아래 그래프는 이번에 캐스퍼스키에서 명명한 The “Kimsuky” Operation에서 공개된 31개의 악성코드들을 ASD(AhnLab Smart Defense)의 데이터 베이스에 다년간 축적된 데이터를 이용해 발견된 시기를 년도와 월별로 정리한 내역이다.
이번 한국을 대상으로한 The “Kimsuky” Operation로 명명된 APT 공격에 사용된 악성코드는 2009년 3월 최초로 발견되었으며, 4년 동안 동일한 형태의 다른 변형들이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2013년 6월 초를 시작으로 6월 한 달 동안 총 10개의 변형들이 발견되었으며, 2013년 9월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변형들이 발견되었다.
The “Kimsuky” Operation에 사용된 악성코드들 모두 기존 한국에서 지속적으로 발견되던 취약한 한글 파일(.HWP)을 이용해 …